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2024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는 1년간 경제활동으로 얻은 6가지 소득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다.
종합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자진해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납부를 하지 않을 경우 가산세가 부가되어 당황스러울 수도 있다.
따라서 자신이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따져보고 사전에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은 누구인지,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보려고 한다.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종합소득에는 근로소득, 이자소득, 연금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의 6가지가 있다.
이들을 합산하여 누진세율을 과세하는 세금을 종합소득세라고 한다.

종합소득 금액이 있는 사람은 모두 신고기간 내에 자진해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한다.

근로소득만 있는 직장인의 경우 연말정산을 하기 때문에,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연말정산을 하지 않은 경우나
근로소득 외에 추가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된다.
N잡이나 부업을 진행하거나, 투자 및 배당으로 받은 배당소득이 일정 금액을 초과한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된다.

또한 학생의 경우 인턴십이나 공공근로, 대외활동이나 공모전 등에서 공제한 소득세 또한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환급받을 수 있으니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좋다.

그 외에 사업자를 가진 경우(자영업자 포함), 아르바이트생 등도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에 포함이 된다.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서를 통해 진행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개인사업자(자영업자), 부동산 임대업자, 연금 생활자, 특수형태근로자, 아르바이트생,
강연이나 대회활동 등 월급 외 추가 소득이 있는 직장인, 종교인 소득 발생자 등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1. 홈택스 전자신고
2. 모바일 홈택스(손택스) 전자신고
3. 세무대리인을 통한 신고
4. 서면신고

종합소득세 환급방법:

종합소득세 신고를 마친 후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환급금 조회 가능

종합소득세 신고하지 않을 경우:

무신고 가산세(일반/부정무신고) 혹은 납부불성실 가산세(미납/미달납부)가 발생
가산세액은 유형에 따라 무신고 납부세액 X 20%, 수입 금액 X 0.07%,
미납/미달납부세액 X 미납기간 X 0.022% 적용

종합소득세 세율 2024 적용
2024년 종합소득신고시 적용 세율
(출처: 네이버 비즈니스 금융센터 https://finsupport.naver.com/contentsGuide/272)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이 아닌 경우


근로소득만 있고, 연말정산을 한 직장인
– 수입 금액이 7,500만원 미만인 근로자
–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
– 퇴직 이후 연금만 받거나, 연말정산 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경우

근로수익만 있고 직전 과세기간 수익 금액이 7,500만원 미만인 근로자들은 종합소득세를 신경쓸 필요가 없다.

퇴직소득과 연말 정산 대상 사업소득만 있고,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가 되는 소득만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따로 수입이 생기는 경우엔 종합소득세 대상이 된다.
이자·배당소득처럼 예적금이나 금융으로 얻은 소득이 연간 2,000만원 이상인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다.

원고료, 강의료 등과 같은 기타소득 역시 비용차감 후 300만원을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한다.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종합소득세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서는 홈택스나 모바일 홈택스(손택스)에 방문하여 신고할 수 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이동하니 참고 바란다.

종합소득세 신고 하러가기 ▷

종합소득세 환급 방법


세금은 항상 미리 납부하기 때문에, 원래 내야 할 금액보다 더 많이 냈다면 환급 받을 수 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마쳤다면,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환급금 조회를 할 수 있다.
환급 일자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게 7월 초까지 환급이 완료된다고 한다.

직장인의 연말정산과 달리, 종합소득세의 경우는 매년 5월 한달이 신고 기간이다.
체감상 새해가 된 후 업장을 운영하다보면 금방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하는 시기가 온다.
지체하여 가산세를 내지 않도록 미리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이상 글을 마친다.

이 게시물이 유용했나요?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수 : 20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